C-School #2 Connection: 사람-아이디어의 의미있는 연결, Trend

<일상속의 디지털 테마파크, 신기헌(프리랜서)>

  • 신기헌
    • Architecture + design + new media + UX + marketing + education + social innovation
    • 테마파크 : 내가 다뤄온 이 주제들이 다 긴밀하게 엮여나온다.
  • 테마파크
    • 우리가 생각하는 테마파크는?
      • 일상과 분리되는 일탈의 공간, 고정된 경계로의 입장, 비용을 지불하는 특별한 이벤트.
    •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어트랙션
      • 구성요소(공간, 체험, 제품, 서비스…), 경험요소(탑승, 대기, 관람, 참여, 구매, 휴식, 이동)
    • 일상속의 일들이 테마파크가 될 수 있다!!
  • 일탈의 재발견
    • 일탈<->일상.
    • 일상 속 일탈은?
      • 넘쳐나는 일탈들…(일상과 같은 일탈)
      • 넘쳐나는 가상속의…(더 현실같은 가상)
      • 넘쳐나는 디지털속의…(새로운 모습의 아날로그)
    • 그럼 일탈 속 일상은?
      • 구글이 만든 증강현실게임. google Ingress.
      • 롤러코스터 앞에 자기가 고른 쉐이크 가루 설치. 롤러코스터 타고나면 잘 섞여있고, 시원하게 쫙 들이킨다. 음료에 대한 호감 굳굳
  •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, 어떻게 가능한가?
    • 새로운 인터페이스. (Cocal-cola village- RFID&Facebook)
      • 이마트 세일 네비게이션(좁은 공간에서 네비 가능. 특수전구 빛 쏘는거 0,1,0,1 인식해서.) ㄷㄷ 신기하다. new 기술도 엄청 중요한듯. 머리를 잘굴리자 기술자를 찾자 아님 내가 개발하든지 헠헠헠
      • 디즈니 테마파크 LED머리띠 ->위치센서 인식해서 자기가 무대의 일부가 됨(색깔 등으로 빤짝빤짝). 디즈니랜드의 하나의 픽셀이 됨 ㄷㄷ
      • 디즈니랜드의 기념품 – 3D프린터로 자기 얼굴이랑 공주랑 붙여서 피규어 ㄷㄷ
    • 경험의 가치에 대한 재발견
      • 기차티켓에 특정시간+건축물 인쇄 ->기차 타고 가다가 그 시간에 창밖을 보면 그 건축물이 보임 ㄷㄷ
    • 기술은, 우리가 고민한 만큼 찾을 수 있다.
  • https://sites.google.com/site/heavenlydesigner/lecture/cschool
  • Inspiration…
    • 저렇게 많은 일들을 하면서, 뭐에 하나 전문가적인것이 없는게 약점이 되지 않는가?(지금 내가 경계하는 내 미래)
    • 오 동영상 보여주고 그 다음에 간략히 설명하며 스크린샷 썸네일로 보여주는거 괜찮다.
    • 현실공간을 파고드는 게임….

 

<3D프린터 상상을 제조하다, 강민혁(오픈크리에이터즈 대표)>

  • 왜 갑자기 이슈냐?
    • 오픈소스로 풀렸다!!!
  • REPRAP
    • 얘가 시초. 얘로 인해서 많고많은 3D프린터들이 나왔다.
  • 내가 CAD설계를 다 해야하느냐?
    • Nope…파일들이 인터넷에 많음. (ex. 아이폰케이스가 필요하다 하면 다운받으면 됨)
  • 3D프린터 자체가 전부는 아니다. 하지만 이걸로 뭘 만들 수 있을지, 그게 중요하다.

<오픈하드웨어와 Smart things 플랫폼, 최재규(매직에코 대표)>

  • IOT관련 솔루션 개발중.
  • IOT란?
    • 가상의 세계+현실
    • PC ->웹사이트 ->휴대폰
  • 왜 미국에서 자녀들 sw교육붐이 일어났느냐?
    • 지금 미국의 부자들이 SW로 성공한 사람들. 그들은 과연 자녀교육을 어떻게..??!
    • 그냥 고리타분한 컴퓨터교육이 아니고, 창의적인 것들(ex.아두이노)로 교육!
  • 아두이노
    • 확장성 짱짱맨
  • 없으면 내가 만들면 되지! 하는 마인드
    • 게다가 비용도 그렇게 많이 안들음.

 

 

사회혁신과 자선(정경선), C-lab(조정래), 본 아이덴티티(최형욱)

<사회혁신과 자선, 정경선>

  • 소녀 달리다
  • 자선
    • 목적을 가짐.
    • 미국.(시초) (록펠러)
      • 자선을 하면서도 본인의 사업과 연결 – 지속가능
      • 록펠러 : 교육기관에 자선.
      • 젊어서 돈을 많이 벌고, 늙으면 자기가 생각하는 그런 가치?를 달성하려 자선사업 하는거 미국에서 유행.
    • 이젠 새로운 트렌드.
      • Giving while living.
        • 유언으로 자선하는게 아니고(죽은 후 자선) 살아있는동안 자선
        • 마크주커버그 같은 사람들은 젊은나이에 부자.
      • 지속가능한 자선
        • 돈을 주는게 그냥 매몰되는 비용이 아니고, 이렇게 자선함으로써 더 돈을 벌수도.
        • ex. 대출을 해주고, 나중에 일을 하며 그것을 갚아가기 등.
      • 20대 자선사업가
        • 이런 사람들이 기존의 딱딱한 자선사업계(?!)에 유입되며 바뀌기 시작.
    • 자선사업은 무슨 역할을 해야하는가?
      • 이게 혁신과 무슨 상관이 있는가?
      • 자선사업가가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?
      • 사실 이건 정부가 하는일 아닌가?
        • 정부는 특정 집단만 도와줄 수 없음.(민감한 일이니)
    • 청년들이 도전을 하고 실패를 해도 될만한 환경을 만들자.
      • 허브서울을 만든것고, 한국에서 도전하고 실패하더라도 그걸 도와줄 수 있고, 설령 그러더라도 좌절하지 않는 그런거.
    • 아프리카 화장실 재발명 프로젝트
      • 상수도 하수도 없이 확산 가능한 화장실을 만들자!(by 빌게이츠)
      • 이 프로젝트에 큰 상금을 걸다.
    • 자선사업가들은 이런 실험적인 걸 할수있음
      • 너가 10년동안 땡전한푼 못벌어도 정말 하고싶은 일이 뭐냐?
      • 사회적 메세지도 줄 수 있음.
  • Insight
    • 자신 일에 확신이 있으니, 말이 진중하고 막힘없이 나오는듯하다.
      • 내 일에 확신을 가지자.
      • 그리고 확신있고 당당한 일을 하자.
    • 내가 관심있는 사회적기업.
      • 일단 그걸 하려면 자본을 모아야한다.
    • 그냥 돈을 주는게 아니고, 내 insight를 전달한다. 내 자금을 통해서. 실험적으로.

 

 

<C-lab, 조정래>

  • 노키아
    • 한번의 실패로 크게 몰락가능
    • 스마트폰 대세를 따라가지 못함.
  • Big의 위기감.
    • 다음에 닥칠 큰 파도는 어케 헤쳐가지..?
  • 대기업의 장점 + 스타트업의 장점
    • but 큰 회사는 기존의 체제를 바꾸는게 어려움
    • 삼성전자의 C-lab (http://blog.samsung.com/3364/)
    • 임직원들을 믿자. 임직원들의 창의성을 믿어보자.
      • 회사 업무시간에 너의 창의적인 일을 해보지 않으련?
    • eyeCam : 1000만원이 넘던 전신마비용 아이트래킹 장비를 5만원대로 낮췄다.
    • 취미시간에 게임을 만들던 직원들을 모아 “너네 업무시간에 게임을 만들어보지 않으련?”
    • Big다운것: 연구성과, 연구 장소, 인프라 등등…ㅂ
  • Insight
    • ppt를 시작하기 전에 “미리 고백하고갑니다”를 넣었네.
    • 동찬오빠 학업계획서 첫장에 “학업계획서 읽는법”을 넣은것같은 기분.
    • 굉장히 좋은듯.
    • 뭔가 큰 로드맵을 본 기분이고, 끝까지 집중을 흐리지 않게 해준다.
    • 파도를 놓치지 않으려면 항상 깨어있어야 하는듯.

 

< 아이덴티티, 최형욱>

  • 본질이 무엇인가?
    • 우린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.
      • 어떤 대학생이 저녁에 술집에 나간다.
      • 어떤 술집종업원이 낮에 대학에 나간다.
    • 답을 요구하는 사회.
      • 정말 ‘답’이 중요할까?
      • 중요한건 ‘질문’이다!
  • 왜 세상을 다르게 봐야하는가?
    • Think different(-steve jobs)
    • 에스프레소와 감초의 차이?
      • 에스프레소가 없어지면 커피가 아님
      • 감초가 없어져도 한약
    • 책 ‘기적의 사과’
  • Insight

C-school. 작당 빅게임 – 단종은 죽지 않았다.

시놉시스

  • 금성대군 사건을 들은 섭이
    • 세조의 수하들 올걸 직감하고 단종대신 목메죽음.
    • 유일하게 자길 알아주는 단종 위해 목숨바친거.
  • 단종은 거절하지만, 최영손의 제지로 섭이의 죽음 못막음.
    • 단종은 최영손과 몸피하고,
    • 엄홍도는 섭이의 시신을 단종의 시신으로 위장해 세조일행 기다림.
  • 세조 명으로 사약갖고온 왕방연(의금부 도사)은 단종 이미 자결했다는 소식 듣고
    • 단종 죽음에 책임지지 않게 됨을 다행스레 여김.
    • 근데 신원확인하다 단종이 아님을 눈치챔.BUT 구라침
  • 5년후 20살의 단종이 RETURN TO 한양.
    • 세종의 옥새 찾아내 자신 증명하고, 지지하는 신하들 모아 왕위 되찾을 계획.
  • 세조는 원하던 왕위 올랐으나 악몽ㅠㅠ
    • 밖으론, 명나라 간섭
    • 안으론, 자신의 정통성에 의문 제기하는 신하들.
    • 종친들로부터의 보이지 않는 비난.
    • 그러다 단종이 살아있을지도 모른단 소리 들음.
  • 시습:
    • 단종 복위를 위해 모인 ‘지의단’의 두뇌.
    • 단종에게 세종의 옥새를 찾아낼것을 권유.
    • 대의명분&유림의 지지 얻기위해선 세종의 옥새가 필요.
  • 20살의 홍위는 시습, 영손과 함께 경복궁에 나타남.
  • 세조는, 악몽의 끝을 보기 위해 명회, 숙주를 데리고 기다림.
등장인물
<단종>
  • 이홍위
    • 단종. 아버지 문종 죽고 12살에 왕 됨.
    • 숙부인 수양대군(훗날 세조)가 왕위뺏음
    • 권력에 뜻X, 문종 닮아 온화. 수양대군과 비밀약조 하고 왕위 양위함.
    • but 약조 지키지 않고 피의 정치 ->세종의 옥새를 찾아 세조를 벌하기 위해 경복궁으로.
  • 최영손
    • 단종’s 호위무사
    • 세종때, 북방 담당 최윤덕(with 김종서)의 사남.
    • 뛰어난 무신(조부와 부친의 무골을 이어받음)
    • 원래 금성대군 사건으로 교수형에 처해져야 됬으나
      • 후일을 도모해달라는 금성대군 청 받아 몸 숨기고 있었음.
    • 단종에게 사약 내려진거 듣고 구하기위해 가다 엄홍도 만남.
  • 김시습
    • 신동.
    • 어렸을 적 세종과 만나 시문을 논.
    •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소식듣고 통곡하고 세상과 인연끊음.
    • 긴밀히 성삼문과 연락취해 단종의 복귀 꾀함
    • 단종이 서울로 돌아왔을 때를 대비하여 안가를 만들고, 자금 모으는 등 참모역할.
    • 사육신의 난 때 화 피함
      • 성삼문이 만일을 대비해 김시습의 존재를 다른사람들에게 밝히지 않고
      • 계란장수였던 진계를 통해 은밀히 연락해서.
<세조>
  • 세조
    • 세종&소언왕후(심씨) 의 둘째아들.
    • 세종의 영민함+태종의 냉정함+증조부의 무골 기질.
    • 황표정사로 인해 왕권이 추락하는 것을 두고볼수없어 왕되기로 결심
      • 집현전 학사들을 포섭해 정권을 잡기위해 노력.
      • 이를 단종이 눈치채고 먼저 비밀약조 제시.
      • 세조는 놀라면서도, 과연 얠 살려둬야할지 고민.
  • 한명회
    • 칠삭둥이. 주위 멸시. 어렸을때 부모 모두 세상뜸.
      • 병약해서 친척들이 안반김.
      • 불우한 유년시절 트라우마 ->세상을 손에 쥐겠다는 꿈.
    • 일부러 과거에 낙방해 재능 숨기다
      • 성삼문을 통해 수양대군과 만남.
    • 수양대군이 드디어 왕위에 올라 겨우 자기세상 왔는데, 어린놈땜에 잃을 수 없단 맘에 단종을 죽여야한다 세종에게 주청.
  • 신숙주
    • 세종의 총애 받으며 한글창제 일조 천재.
    • 사육신(성삼문, 박팽년..)등과 지기.
    • 수양대군 택한 이유: 13차에 걸친 명나라 방문.
      • 12세의 어린 왕의 조선은 명나라에게 매력적인 먹이감.
      • 조선의 온전한 자립을 위해 무엇이든 할 준비…!ㅜ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