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RTSTUDY 마케팅팀 보노보님이 알려주신 한국형 꿀팁! 감사합니다 (- -)(_ _)
경로별 매출 – 세그먼트 사용
경로별 매출을 볼 때 세그먼트를 사용하게 되는데
설정할 때 소스에 “다음과 정확하게 일치”가 아니라 “다음을 포함”으로 하셔야 합니다.
GA가 페이스북을 앱, 모웹, 웹을 구분해서 트래킹하기 때문에 소스에서 다음과 일치로 하시면 수치가 덜 잡히게 됩니다.
(참고 : https://megalytic.com/blog/tracking-revenue-from-facebook-visitors-using-google-analytics-goals)
카카오스토리나 다른 채널 역시, GA가 트래킹하면서 경로가 뒤섞이는게 있어서
카카오스토리 세그먼트는 소스에 “다음을 포함 – kakao”, 팝업은 “다음을 포함 – popup”으로 하시면 됩니다.
GA의 판단 방식
특정 채널로 유입된 사람이 이탈했다 다시 와서 사는 경우, GA는 특정 채널이 매출에 기여했다고 판단하지 않습니다.
즉 페북으로 들어 온 뒤 사이트를 나갔다가, 네이버에 검색하고 와서 사는 경우 페북이 아니라 네이버를 통해 매출이 발생했다고 판단합니다.
따라서 기준이 보수적이라 특정 채널의 기여도가 실제로는 좀 더 높을 수 있습니다.
(바로 구매 + 나중에 구매 중 나중에 구매를 측정 안함)
좋은 내용 공유 감사합니다^^
앗 아이콘 이미지는 랜덤인가요? ㅋㅋㅋㅋ
넵 제가 랜덤 괴물을 설정해두어서 ㅎㅎㅎ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~